CONTACT US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I recommend visiting cushmanwakefield.com to read:%0A%0A {0} %0A%0A {1} Share on Naver

고성능 컴퓨팅 시대,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John Pritchard • 20/01/2025

데이터센터 산업은 높은 클라우드 수요와 AI의 부상으로 인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데이터센터의 성장은 클라우드 성장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향후 10년 후반으로는 AI 수익이 클라우드와 함께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산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Cloud & AI driving demand for power, increasing server densities, cooling requirements

 

생성형 AI의 발전은 이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그들의 데이터센터 개발 전략을 재평가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AI 데이터 센터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 1) AI 모델이 대규모 데이터셋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트레이닝 시설과 2) 사용자들에게 AI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인퍼런스 시설이다.

트레이닝 시설은 기존 전통적인 데이터센터에 비해 지연(latency)에 덜 민감하므로, 그에 따른 알맞은 부지 선택도 클라우드와는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인퍼런스 시설은 클라우드가 위치한 지역에 근접해야 하며, 한국의 경우 이러한 지역은 주로 수도권 내에 위치하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설계는 오늘날의 기술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변화해야 했다. 새로운 요구 사항에 따라 랙 밀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냉각 기술의 강도와 정교함도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2021년 평균 서버 랙 밀도는 랙당 5~30kw 였으나, 2025년에는 랙당 30~120kw로 증가할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추후의 데이터센터 설계는 이러한 랙 밀도와 냉각 능력에 대한 미래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ncreased AI capability and adoption to see a surge in the average server rack density range

 

오는 3분기 양재동에 KR1 GDC 데이터센터 신축 준공을 앞두고 있는 데이터센터 기업 엠피리온 디지털의 최용석 최고 전략 및 인프라 책임자(CSIO)는 “엠피리온 디지털은 주 냉각 솔루션으로 노텍(Nortek)의 State Point Liquid Cooling 솔루션을 선도적으로 채택하여 이를 통해 PUE를 1.3 이하로 유지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직접 칩 액체 냉각(direct chip liquid cooling) 및 고전력 밀도 랙을 위한 후면 도어 열 교환기(rear door heat exchanger) 같은 솔루션도 통합할 수 있다”며 “기존 데이터센터와 비교해 물 사용량을 80%이상 줄일 수 있고, BIPV(건물 통합 태양광 발전)과 같은 다양한 솔루션을 도입하여 전체 시설에서 에너지를 절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그는 “우리의 목표는 세계적 수준의 에너지 효율 표준에 맞춘 한국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AI에 최적화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동시에 고객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콜로케이션 데이터센터 시장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장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IT 기업과 국내 대기업도 데이터센터 확장을 추구함에 따라 AI와 같은 고성능 컴퓨팅(HPC) 워크로드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여 인프라 수요를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AI는 GPU 기반 서버와 고대역폭 네트워크 인프라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인프라를 지원하는 데이터센터의 설계 및 운영 능력이 시장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되고 있다. 저는 엠피리온 디지털의 KR1 GDC가 증가하는 AI 수요에 잘 대비된 센터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의 제정으로 수도권에서 전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이 센터는 기업들이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만한 준비된 데이터센터라고 생각한다.

통찰력

The Origin region of E-Commerce Logistics, Gimpo.jpg
Insights

Logistics Tenant Profile – 이커머스 물류 발원지, 김포

김포는 서울과 인접하다는 장점을 십분 발휘하며 라스트마일 배송 거점으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커머스의 양대 산맥, 쿠팡과 마켓컬리가 높은 점유율로 존재감을 뽐내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2025년 4월에 발간된 “Logistics Tenant Profile: 이커머스 물류 발원지, 김포편”에서는 효율성 향상을 추구하는 쿠팡의 주요 운영 특징도 확인할 수 있다. 물류 자동화, 대규모의 차량 출입과 인력 투입, 납품처를 순회하며 픽업하는 밀크런 방식의 공급망 운영이 가능한 신축 우량 물류센터는 핵심 자산으로 인정받아 그 가치가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표적인 이커머스 기업과 풀필먼트 물류 사업의 선두주자인 대형 물류사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Carter Kim • 03/04/2025
Fit Out Cost Guide 2025_Web Card.jpg
Insights • Workplace

아시아 태평양 오피스 공사비용 가이드

오피스 구축공사 비용 가이드는 기업의 부동산 결정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Dominic Brown • 05/03/2025
Data Center Seoul Market Update
Insights

한국 데이터센터 시장 보고서

2024년 하반기 수도권 데이터센터 개발은 상반기보다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요 개발 지역이 서울 남서부에서 인천·
Chloe Kwon • 04/03/2025
warehouse interior
Research

Logistics Tenant Profile – 변화하는 물류 허브, 충청

충청 권역은 경부 및 중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대부분의 물류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2024년 물류 면적이 약 220%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천안, 음성, 진천 지역에 신규 공급량의 약 70%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24/02/2025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셨나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전문가들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추가 옵션
동의 후 종료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는 마케팅 파트너와 협력하여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에 클릭하신 광고 또는 링크를 파악하거나 당사의 광고가 여러분에게 보다 관련이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모두 동의
모두 거부
설정 저장